최은향의 음악순례: 스페인- 도미니코 스카를라티 와 피아노 소나타 1

안녕하세요 . 음악으로 세상을 아름답게 하기를 바라는 최은향 입니다


D.Scarlatti 

바흐와 헨델과 같은 해에 위대한 작곡가인 도미니코 스카를 사태는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 아들로 나폴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음악가였던 아버지에게 처음 음악을 배웠을 것으로 여겨진다. 1701 나폴리 궁정예배당 오르간 주자로 임명되었으며 2 뒤에는 로마에서 대위법 이론을 배웠다. 뒤로 그는 아버지와 같이 오페라 작가로 등장했으나 1708 피렌체 베네치아 수업하러 갔다. 이때 베네치아에서 독일 헨델 만나 오르간 하프시코드 경기를 하여 뒤부터 그와 친교를 맺었다. 1709년에 로마 거주하고 있던 폴란드 황태후 마리아 카지미라에게 봉사했고 황태후의 소극장을 위하여 편의 오페라를 작곡했지만 황태후가 로마 떠난 후로는 포르투갈 대사의 악장을 거쳐 1715 교황청 줄리아 예배당의 악장이 됐다. 1719 런던 방문했고 다음해에 오페라 <나르키소(나르키소스)> 상연했으나 1721년에 포르투갈 궁정악장이 되어 리스본으로 갔다. 그는 거기서 왕녀인 마리아 바르바라 하프시코드 교사로도 근무하였다. 한때 이탈리아 돌아왔으나 1729 마리아 바르바라 스페인 왕자와 결혼했을 그녀를 따라 마드리드 갔다. 그리고 결국 마드리드 정주하여 곳에서 일생을 마쳤다. 

스카를라티는 오페라·교회음악 등도 작곡했으나 가장 유명한 것은 무엇보다도 555곡이나 되는 하프시코드 곡이다. 이것들은 주로 마리아 바르바라 위하여 작곡된 것으로 연습곡이라고 불렸으나 오늘날에는 소나타라고도 한다. 이들 소나타는 2부분형식으로 1악장으로 되어 있으나 화성구조나 복주제(複主題) 징조도 보인 후의 고전파 소나타의 원형을 보이고 있는 면이 현저하며, 대체로 이것은 이미 로코코풍으로 되어 있으며 3도나 6, 양손의 교차 후의 피아노 기법이 활발히 개척돼 있다.

1728 페르디난도 6(1746 왕이 ) 결혼을 포르투갈의 왕녀 마리아 바르바라를 따라 페인으로 이주했고 여기서 생을 마쳤다. 그는 최후의 작품이라고 여겨지는 소프라노와 현악기를 위한 (살바 레지나)외에는 오로지 쳄발로곡 밖에는 작곡하지 않았다

앞에서 소개한 대로 , 그 당시 스페인 왕실에서는 파리넬리가 활동하고 있었다.카스트라토인 파리넬리의 주도로 더욱 호사스럽게 궁정 음악활동 가운데에서, 스카를라티의 작업은 1752년부터 57 사이 여왕을 위한 마지 쳄발로 소나타를 작곡할 때까지 꾸준히 지속되었다.

스카를라티 소나타의 악보

 안타깝게도 작곡가의 자필보 하나도 남아있지 않다. 작곡가 생전에 출판된 것은 수가 대단히 적다. 스카를라티의 생각을 전달해 있는 자필 기록 또한 거의 남아있지 않다. 그나마 1738 런던에서 출판된 그의 최초의 쳄발로를 위한 연습곡집 판본의 서문을 통해 이들 작품이 어떠한 의도로 작곡되었는가를 있다. 30곡으로 구성된 연습곡집이 출판된 이후 19세기에는 클레멘티와 체르체르니에 의해 300 남짓 알려지 되었고 1906년이 되어서야 겨우 알레산드로 롱고에 의해 544곡을 담은 최초의 전집(L 번호) 완성 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작곡 시기를 고려하지 않은 번호인 탓에 랄프 커크패트릭(K 번호) 1953년에 대기순으로 다시 정리했고 1970년대 케네스 길버트에 의해 보강되었다

스카를라티 소나타의 특징

스카를라티 550 곡이 넘는 건반악기 소나타를 작곡 하였는데, 서양 음악사의 그의 명성은 거의 전적으로 작품들에 의한다. 그는 자신의 소나타에서 화려한 건반악게 테크닉과 독창적 스타일의 음악 어법을 개발했으며, 그리하여 18 세기초반 건반 악기 음악 발전에 아주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 자신의 타고난 상상력과 재능을 발휘하여 정교한 건반악기 소품들을 만들어 냈으며, 후세 작곡가들을 위한 피아노 지평을 넓혀 주었다.


스카를라티는 550 이상의 건반악기 소나타를 작곡하였다. 오늘날 수많은 그의 소나타가 피아노 독주 곡으로 나오는데 이는 피아니스트에게나 오늘날의 청중에게나 즐거운 일이지만 본래는 하프시코드를 작곡된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하겠다. 실제로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화려한 음향, 과감한 전조, 조성의 선택 등이 하프시코드의 서로 다른 음역에서 어울린다는 하프시코드 연주자들의 설명에서도 뒷받침 되고 있다. 대부분의 스카를라티 에디션은 소나타를 독립된 것으로 알고 있으나 일부 학계에서는 이들 소나타를 당시의 다른 이탈리아 작곡가들의 관례처럼 짝지어 연주하도록 의도하기도 했다고 한다. 예를 들어 하나 장조이면 나머지 것은 단조로, 혹은 둘다 동일 으뜸음조로 쌍을 이루기도 한다


  1. #DomenicoScarlatti#ScarlattiMusic#BaroqueComposer#PianoMaestro#ClassicalHarpsichord#ScarlattiSonatas#MusicHistory
  2. #ItalianComposer#MusicalGenius#KeyboardVirtuoso
  3. #MusicalHeritage#HarpsichordMastery#InnovativeComposer#MusicalInfluencer#MusicOfTheBaroque#ScarlattiLegacy#ComposerOfThePast#HarpsichordMusic#MusicAppreciation#MusicScholarship